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9)
[5주차] 클래스 목표자바의 Class에 대해 학습하세요.학습할 것 (필수)클래스 정의하는 방법객체 만드는 방법 (new 키워드 이해하기)메소드 정의하는 방법생성자 정의하는 방법this 키워드 이해하기마감일시2020년 12월 19일 토요일 오후 1시까지.과제 (Optional)int 값을 가지고 있는 이진 트리를 나타내는 Node 라는 클래스를 정의하세요.int value, Node left, right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BinrayTree라는 클래스를 정의하고 주어진 노드를 기준으로 출력하는 bfs(Node node)와 dfs(Node node) 메소드를 구현하세요.DFS는 왼쪽, 루트, 오른쪽 순으로 순회하세요.0. 왜 객체 지향 언어?객체 지향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선 이 객체 지향언어가 기존의 절차적 언어와 다른..
[5일차 예습] 정렬 정렬이란? 정렬(Sort)은 대상이 되는 자료를 어떤 키 값에 따라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재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렬의 종류 및 분류 내부정렬: 정렬하고자 하는 자료를 주 메모리에 모두 가져다 놓고 정렬하는 방식으로, 자료의 양이 적을 떄 사용하며 정렬 속도가 빠르다. 외부정렬: 정렬하고자 하는 자료를 보조 기억 공간에 두고 일부분씩 주 메모리로 가져가 병합하여 정렬하는 방식으로, 자료의 양이 많을 때 사용한다. 정렬알고리즘은 선택 시 고려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1. 초기 입력 자료의 배열 상태 2. 입력 자료의 양 3. 키 값들의 분포 상태 3. 소요 공간 및 작업 시간 4. 정렬에 필요한 기억 공간의 크기 5. 자료에 대한 액세스 빈도 내부정렬(Internal Sort) 1) 삽입정렬..
[4주차] 제어문 #4 목표 자바가 제공하는 제어문을 학습하세요. 학습할 것 (필수) 선택문 반복문 과제 (옵션) // 하나도 모르겠어요... ㅜㅜ 과제 0. JUnit 5 학습하세요. 인텔리J, 이클립스, VS Code에서 JUnit 5로 테스트 코드 작성하는 방법에 익숙해 질 것. 이미 JUnit 알고 계신분들은 다른 것 아무거나! 더 자바, 테스트 강의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과제 1. live-study 대시 보드를 만드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깃헙 이슈 1번부터 18번까지 댓글을 순회하며 댓글을 남긴 사용자를 체크 할 것. 참여율을 계산하세요. 총 18회에 중에 몇 %를 참여했는지 소숫점 두자리가지 보여줄 것. Github 자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깃헙 API를 익명으로 호출하는데 제한이 있기 때문에 본인의..